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체성의 정치

정체성의 정치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인쇄

한국사회와 정체성

  • 작성일 2023.04.12
  • 작성자관리자
  • 조회수122

youtube mocc

 

강좌명
한국사회와 정체성
 
교수
김성진 /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부 정치외교학과
 
강좌소개
이 강의에서는 사회 내 다양한 차이에 기초해 발전하는 정체성 형성과 발전을 살펴보고, 정체성 갈등이 사회발전의 역동성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는 데 있다. 
  세계화와 함께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국가/사회집단 간 교류증대와 인간의 이동을 촉진하고 있다. 인간 이동은 서로 다른 문화와 가치의 이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변화는 사회발전의 기회임과 동시에 사회내 존재하는 다양한 차이와 함께 사회내 갈등을 증복시키는 요소가 된다.
  세계화와 함께 증폭되는 차이와 차별의 문제는 민주주의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체제경쟁과정에서 보다 나은 선택으로 인식되었던 민주주의는 여전히 소수를 배제하는 한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보편적 인권에 대한 강조에도 불구하고 소수의 인권보호에 어려움을 안고 있다.
 한국사회 역시 세계화와 민주화 과정에서 사회 내 차이가 차별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 강의에서는 한국 사회의 정체성 문제를 통해 한국 사회에 대한 이해와 함께 한국사회가 안고 있는 과제를 이론과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있다.
 
주차별 학습내용

 

 차수  학습내용
 1주차 차이와 민주주의
 2주차 정체성 이론
 3주차 정체성과 사회안보
 4주차 정체성과 지역주의
 5주차 온라인 페미니즘
6주차 여성의 사회참여
7주차 이주/다문화
8주차 여성이주/결혼이주
9주차 난민과 정체성 갈등
10주차 한국사회 정체성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