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비주얼 영역
- 한국학으로서 정치외교학에 관한 콘텐츠 플랫폼 구축
- 국내외 외국인들의 수요를 반영한 새로운 한국학 관련 콘텐츠 개발
- 온라인 강좌 개발·제작·보급·확산
- 미래 한국학 후속세대 양성에 기여 및 해외 한국학 네트워크 구축
공지사항
- 인하대 국제관계연구소 – 2022 공공외교 한마당 개최 2022-05-23
- 인하대 국제관계연구소 전임연구원 공개채용 공고 2022-05-04
- [K학술확산연구센터 제 5차 콜로키움] 특별강연 '디아스포라가 미래다' (전후석 감독) 2022-04-29
연구·출판
-
논문
북한의 복합 A2/AD 전략과 안보적 함의 (반길주)
- 발간일2022-05-24
- 조회수3
-
논문
Bolstering the Alliance for a Trilateralism-Based Security Strategy for South Korea in Times of U.S.-China Rivalry (Chang-hee Nam, Sang-ho Song)
- 발간일2022-05-24
- 조회수1
-
논문
Arms Control Dialogue or Gray Zone Talks? Pitfalls of the Discourses of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Nuclear Arms Control (Kil Joo Ban)
- 발간일2022-05-24
- 조회수3
-
논문
북한의 복합 A2/AD 전략과 안보적 함의 (반길주)
- 발간일2022-05-24
- 조회수3
-
논문
Bolstering the Alliance for a Trilateralism-Based Security Strategy for South Korea in Times of U.S.-China Rivalry (Chang-hee Nam, Sang-ho Song)
- 발간일2022-05-24
- 조회수1
-
논문
Arms Control Dialogue or Gray Zone Talks? Pitfalls of the Discourses of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Nuclear Arms Control (Kil Joo Ban)
- 발간일2022-05-24
- 조회수3
-
콜로키움
디아스포라가 미래다
일시 : 2022. 5. 11 (수) 13:30~15:30 K학술확산연구센터는 2022년 5월 11(수), ‘정체성의 정치 시리즈’의 시작으로 다큐멘터리 ‘헤로니모’, '초선'의 전후석(Joseph Juhn) 감독을 모시고 제 5차 콜로키움을 수행하였다. 이번 콜로키움은 “디아스포라가 미래다”라는 제목으로 한인 이주민들의 정체성에 대한 전 감독의 통찰이 담겨 있는 강연을 들을 수 있었다. 전 감독이 직접 만난 조선족, 독일 한인, 브라질 한인, 쿠바 한인, 남아공 한인, 고려인 등 세계 한인들의 이야기를 듣고 그들의 삶을 더 가까이 바라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이날 경연에 참석한 학생들과 전 감독 간 활발한 질의응답이 이루어졌으며, 학생과 참여자들에게 유익한 소통의 장이 되었다.
- 2022-05-20
-
콜로키움
중국의 한국학 연구동향
일시 : 2022. 4. 27 (수) 16:00~17:00 K학술확산연구센터는 2022년 4월 27(수), ‘지역별 한국학 연구 동향 시리즈’의 일환으로 인하대학교 장영덕 연구교수님을 모시고 제4차 콜로키움을 수행하였다. 이번 콜로키움은 “중국의 한국학 연구 동향”이라는 주제로 중국에서 한국을 연구하는 기관 및 관련 프로그램 등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더불어 중국에서 점차 증가된 한국 연구의 필요성 및 한국학의 발전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고 향후 중국 안에서 한국학이 나아갈 방향과 한국과 중국 연구기관 및 연구자 교류를 통한 다양한 한국학 협력 확대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2022-05-03
-
콜로키움
러시아의 한국학 연구동향
일시 : 2022.3.24. 목 14:00- 15:00 K학술연구센터는 2022년 3월 24(목) 14:00-15:00, ‘지역별 한국학 연구 동향 시리즈’의 일환으로 연세대학교 지역학협동과정의 고상두 교수님을 모시고 제3차 콜로키움을 수행하였다. 이번 콜로키움은 “러시아의 한국학 연구 동향”이라는 주제로 러시아의 한반도 연구자 세대별 특징과 러시아에서 한국을 연구하는 기관 및 전문가 그룹 등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한국에 대한 러시아의 인식이 한류의 영향 등으로 점차 확대되어가고 있는 추세를 살펴보고 전통적인 안보 분야에 치중했던 러시아의 한국학 동향도 향후 다방면으로 발전할 것을 전망했다.
- 2022-03-25

뉴스레터 구독
인하대학교 K학술확산연구센터의 뉴스레터 구독을 원하시면 정보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