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비주얼 영역
- 한국학으로서 정치외교학에 관한 콘텐츠 플랫폼 구축
- 국내외 외국인들의 수요를 반영한 새로운 한국학 관련 콘텐츠 개발
- 온라인 강좌 개발·제작·보급·확산
- 미래 한국학 후속세대 양성에 기여 및 해외 한국학 네트워크 구축
공지사항
- [인하대학교 K-학술확산연구센터] K-MOOC 강의 수강 에세이 공모전 모집 공고 2024-12-19
- [인하대학교 K-학술확산연구센터] K-커넥터즈 2기 모집 공고 2024-12-19
- [인하대학교 K학술확산연구센터] K-커넥터즈 1기 공일이삼팀 한국학 뉴스레터 '메아리' 발행 2024-08-22
-
융복합 콘텐츠
East Asian States’ Leadership in International Law
강좌명 East Asian States’ Leadership in International Law 교수 이석우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강좌소개 This lectures will provide for enhancing discussions and dialogue to advance what Western scholars might classify as “outsiders’ perspectives” to international law, which are currently not present within mainstream international law textbooks. 주차별 학습내용 1주차 East Asian States’ Leadership in International Law 2주차 East Asian States’ Leadership in International Law 2 3주차 East Asian States’ Leadership in International Law 3 4주차 Asian State Practice in the Domestic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Law 1 5주차 Asian State Practice in the Domestic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Law 2 6주차 East Asia’s Cultural Influence on the Law of the Sea 1 7주차 East Asia’s Cultural Influence on the Law of the Sea 2
- 2025-05-01
- 61
-
융복합 콘텐츠
Korean Cinema: A View from Russia (수강용)
강좌명 Korean Cinema: A View from Russia 교수 Rimma Tangalycheva (St.Petersburg University) 강좌소개 This course provides an overview of Korean cinema from its invention to the present day. The purpose of the course is to acquaint students interested in Korean studies with the main achievements of Korean cinema. The peculiarity of the course is that it represents the Russian vision of Korean cinema, a specific view of Russian viewers and film critics. Another distinguishing feature of the course is that it analyzes contemporary South Korean films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주차별 학습내용 1주차 Introduction. History of Korean Cinema 2주차 Im Kwon-taek: the Living Legend of Korean Cinema 3주차 The Sorrowful Realism of Lee Chang-dong 4주차 Bong Joon-ho: Cinema for Social Change? 5주차 Zombie Apocalypse Yeon Sang-ho 6주차 Mathematical Impressionism by Hong Sang-soo 7주차 Feminist Wave in South Korean Cinema
- 2025-05-01
- 69
-
융복합 콘텐츠
한국춤을 통한 한국문화 읽기 Ⅱ (수강용)
강좌명 한국춤을 통한 한국문화 읽기 Ⅱ(한국춤의 세계화) 교수 양민아 (중앙대학교) 강좌소개 본 강의는 19세기 중반부터 조선 말기 전통춤이 다른 문화들과 소통하며 변화하는 모습을 알아볼 것이다. 특히 19세기 중반부터 세계로 흩어진 한민족에 의해 향유되고 있는 한국춤의 경향을 통해 한국춤의 세계화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먼저 구소련(러시아와 중앙아시아), 중국 연변, 일본, 미국 하와이 등으로 퍼져 나간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이주사와 함께 디아스포라 문화에서 춤으로 대표되는 전통 공연예술들을 어떻게 향유하고 있는지 또 전통 공연예술활동이 어떠한 의미를 담고 있는지 알아볼 것이다. 반대로 구소련 지역에 거주했던 고려인들은 2000년대 이후 대한민국으로 재이주를 하며 대한민국 사회에서 반전된 형식의 디아스포라를 형성하며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을 펼치고 있다. 본 강의에서는 대표적으로 광주 고려인마을의 문화예술활동을 사례를 통해 상호문화시대를 맞아 공연예술활동의 사회적 역할과 가치 중요성에 대해 고민해 보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주차별 학습내용 1주차 조선시대 전통춤의 근대화와 세계화 과정 2주차 러시아 연해주의 고려인들과 일제강점기 조선의 공연예술의 근대화 3주차 구소련 시기 고려인들의 공연예술 활동과 고려극장들 4주차 소련 해체 이후, 고려인들의 공연예술 활동과 그 의미 5주차 중국 연변 한인들의 공연예술 활동 6주차 일본 한인들의 공연예술 활동 7주차 미국 하와이 한인들의 공연예술 활동
- 2025-05-01
- 49
-
융복합 콘텐츠
재외동포 문학과 정체성 (수강용)
강좌명 재외동포 문학과 정체성 교수 이혜영 (중국해양대학교 한국어학과) 강좌소개 해방이전 '만주국' 시기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각 시기의 조선족 문학(조선인 문학) 작품을 그 창작시기와 창작 주체와의 연관 속에서 이해하며 그러한 문학을 탄생시킨 창작 주체이자 동시에 그 문학의 대상이며 향유 계층으로서의 조선족의 정체성의 문제를 구명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차별 학습내용 1주차 조선족과 조선족 문학 2주차 중국 조선족 문학의 전사(前史)-재'만주(滿洲)' 조선인 문학 3주차 건국 초기 조선족 문학과 중화인민공화국 국민으로서의 정체성의 확립 4주차 1960년대 초반 조선족의 혁명서사와 국민적 정체성의 강조 5주차 1980년대 조선족의 혁명서사와 국민적 정체성의 재정립 6주차 ‘뿌리 찾기 문학’과 중국 조선족의 정체성 찾기 7주차 한중 수교 이후 조선족의 혁명서사와 국가적 정체성의 재 결집
- 2025-05-01
- 48
-
공공외교와 세계
Korea’s Contributive Diplomacy (수강용)
강좌명 Korea’s Contributive Diplomacy 교수 김수원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강좌소개 Provision of global public goods is a genuine way of practicing public diplomacy. Contributive diplomacy is a straightforward means to make the world a better place and to bolster soft power. This course introduces varied practices of contributive diplomacy of Korea including sharing development experience, building a national museum, inviting young film producers for training, designing a new city, and deploying anti-piracy naval units. 주차별 학습내용 1주차 "Contributive Diplomacy" of Korea: Sharing Knowledge 2주차 ICT 3주차 Cities 4주차 Film 5주차 Sports 6주차 Peace 7주차 Cultural Heritage Diplomacy
- 2025-05-01
- 48
-
정치외교학 일반
한국의 선거정치 (수강용)
강좌명 한국의 선거정치 교수 최준영/인하대 정치외교학과 강좌소개 본 강좌는 한국의 선거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제도, 역사, 유권자의 투표행태 등의 측면에서 전반적인 소개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론적인 측면에서 민주주의에서 선거와 대의(representation)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선거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정당이 한국에서는 어떻게 운영되고 있으며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소개한다. 그리고 대통령 선거, 국회의원 선거, 지방선거, 재보궐선거의 제도, 역사와 특성 등을 소개한다. 유권자의 투표행태는 지역주의, 이념과 이슈, 그리고 정당일체감에 초점을 맞추어 알아본다. 주차별 학습내용 1주차 선거와 민주주의 2주차 한국의 정당 3주차 대통령 선거 4주차 국회의원선거 5주차 지역주의 투표행태 6주차 이념과 이슈 투표 7주차 정당일체감
- 2025-04-30
- 89
-
정치외교학 일반
근세 한국의 정치사상 (수강용)
강좌명 근세 한국의 정치사상 교수 김정호/인하대 정치외교학과 강좌소개 본 과목은 한국의 근세에 해당하는 시기인 1392년 조선조 성립부터 일본 제국주의에 의해 한국이 식민지로 전락한 1910년까지 한국, 즉 조선조에서 전개된 다양한 정치사상의 내용과 의미를 다루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근세 한국의 지배적 정치이념이었던 주자학파의 정치사상과, 이에 회의하고 국가사회개혁의 실천론을 제시했던 근세 한국 개혁사상의 흐름을 시대별로 나누어 살펴보려는 것이다. 주차별 학습내용 1주차 근세 한국의 정치사상 교과목 개관 2주차 조선조 주자학파의 정치사상 I 3주차 조선조 주자학파의 정치사상II 4주차 근세 한국의 개혁사상I 5주차 근세 한국의 개혁사상II 6주차 근세 한국의 개혁사상III 7주차 근세 한국의 개혁사상IV
- 2025-04-30
- 100
-
정치외교학 일반
북한의 정치와 사회(수강용)
강좌명 북한의 정치와 사회 교수 박상희/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강좌소개 북한의 정치, 경제, 사회의 특징과 변화에 대해 논의한다. 북한의 공산화 과정과 정치체제의 특성에 대해 개괄하고, 북한의 지도자와 통치이념을 그림과 사진 등의 시각 도상을 통해 만나본다. 그리고 북한 경제의 시장화와 그에 따른 북한 사회의 변화에 관한 내용과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본다. 주차별 학습내용
- 2025-04-21
- 128
-
정치외교학 일반
근대 한국의 정치와 외교(수강용)
강좌명 근대 한국의 정치와 외교 교수 김정호/인하대 정치외교학과 강좌소개 본 강좌에서는 근대 한국이 국제사회에 등장하게 되는 경위 및 문호개방기 한국사회의 변화와 대외관계의 특성에 대해 강의한다. 1876년 조일수호조규의 체결로부터 1945년 광복에 이르는 기간 동안 근대 한국의 정치와 외교에 영향을 미쳤던 여러 중요한 사건들을 시대적 흐름에 따라 살펴본다. 여기에 당시 한국과 관련이 깊었던 동아시아 국가들, 즉 중국과 일본의 국내외 상황도 포함된다. 이 강의를 통해서 근대기 한국이 경험했던 많은 일과 국가적 고민, 그리고 내적 발전의 원동력 등을 이해할 수 있다. 주차별 학습내용
- 2025-04-21
- 116
-
정치외교학 일반
남북한 통일과 국제사회(수강용)
강좌명 남북한 통일과 국제사회 교수 고상두/ 연세대학교 지역학협동과정 강좌소개 통일에는 내부적 통일과 외부적 통일이 있다. 내부적 통일은 민족주의에 기반한 통일이고, 이를 위해서는 민족 동질감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며, 남북한 간의 교류협력이 여기에 해당한다. 외부적 통일은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의 지지이다. 이것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웃나라와의 화해협력이 필요하다. 이 강의는 한반도 통일을 위해 한국이 추진하고 있는 내외부적 노력을 소개한다. 주차별 학습내용
- 2025-04-21
- 100
-
정체성의 정치
국내의 고려인 사회 형성과 발전 (수강용)
강좌명 국내의 고려인 사회 형성과 발전 교수 성동기(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 강좌소개 본 강의는 국내의 고려인 사회 형성과 발전을 살펴보고자 한다. 1991년 구소련의 붕괴 이후 고려인은 거주국의 민족주의정책과 경제낙후로 인해서 새로운 이주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초기에 고려인은 러시아로 재이주를 단행하였지만 한국 정부가 2007년 H-2(방문취업사증)제도를 시행하면서부터 한국으로 급속하게 이주하기 시작하였다. 주차별 학습내용 1주차 고르바초프의 집권과 개혁•개방 정책 2주차 정치체제와 경제체제의 변화 3주차 체제전환기 중앙아시아 국가의 변화 1 4주차 체제전환기 중앙아시아 국가의 변화 2 5주차 어디로 떠날 것인가? 6주차 H-2비자 7주차 성공한 정착과 실패한 정착
- 2025-05-01
- 42
-
정체성의 정치
재미동포의 이해 (수강용)
강좌명 재미동포의 이해 교수 이승은 (School of Criminology & Justice Studies, University of Massachusetts Lowell) 강좌소개 본 과목은 재미동포의 과거, 현재, 미래를 조명한다.• 재미동포의 역사를 고찰한다.• 이민 유형, 이민 시기 및 세대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보이고 있는 재미동포에 대해 고찰한다.• 차세대 재미동포 개인 및 단체, 아시안 아메리칸의 역사를 고찰한다.• 재미동포의 정치 참여, 한국어 교육, 정책적 방향, 재미동포의 미래를 고찰한다. 주차별 학습내용 1주차 재미동포의 개념 및 역사 2주차 미국 이민 속에서 바라본 재미동포 3주차 다양한 한인 이민의 유형 4주차 아시아계 미국인 5주차 차세대 재미동포 6주차 한인 입양인 7주차 재미동포와 관련된 제반 이슈들 및 재미동포의 미래
- 2025-05-01
- 47
-
정체성의 정치
국내 조선족 사회의 형성과 발전(수강용)
강좌명 국내 조선족 사회의 형성과 발전 교수 이진영/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강좌소개 본 강좌는 이민이라고 하는 큰 틀, 전 세계적으로 국경을 넘어서서 이루어지고 있는 이민이라는 틀에서 중국동포를 바라본다. 한국에 들어온 동포들을 노동력, 비자에 의한 다양한 요소들로써 살펴봄으로써 어떻게 해서 중국동포들이 정주하게 됐고 정주하는 삶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전개됐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중국동포들의 집거지부터 시작해서 중국동포들의 삶과 이들에 대한 한국 사회에 있어서의 시각, 차별 등의 문제를 넘어서서 앞으로 미래에 서로 상호 이해하면서 미래를 개척해 나가는 과정까지 중국동포의 모든 것에 대해서 알아본다. 주차별 학습내용
- 2025-04-21
- 101
-
정체성의 정치
한국의 시민권과 네이션(수강용)
강좌명 한국의 시민권과 네이션 교수 이철우/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강좌소개 대한민국 국민과 코리안 동포의 경계, 그리고 국민과 동포가 되는 요건, 국민과 동포로서 누리는 지위가 어떤 것인지를 살피는 것이 주된 목적인데, 이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 시민권과 네이션에 관련된 세계의 현실과 제기되는 쟁점들을 폭넓게 살피는 것이 이 강좌의 내용이다. 본 강좌에서는 주로 시민권과 네이션의 제도적 측면을 살펴본다. 이 강좌에서 원용하는 많은 정보는 법적 정보이다. 대한민국의 법제에서 바라보는 시민권과 네이션, 그리고 세계 각국이 시민권과 네이션을 어떻게 규정하고 취급하고 있으며, 국제규범이 어떤 태도를 취하는가를 살펴본다. 대한민국 헌법과 기타 공법에 대한 지식, 여러 나라의 법제에 대한 비교법적 지식, 그리고 국제법의 쟁점들을 다루게 된다. 주차별 학습내용
- 2025-04-21
- 105
-
정체성의 정치
한국사회와 이민(수강용)
강좌명 한국사회와 이민 교수 이혜경 (배재대학교 행정학과) 강좌소개 한국은 전 세계적으로 이민변천을 성공적으로 겪은 대표적인국가로 1980년대 말 이후 노동송출국에서 노동유입국으로 변모하였다. 이민 관련 개념, 역사 및 한국사회의 이민변천 양상을 간략히 살펴본 후, 외국인의 국내이주의 대표적인 세 가지 물결인 동포의 귀환이주, 동남아시아인의 노동이주, 결혼이주를 유형별 그리고 시기별로 나누어 살펴본다. 나아가 시기별 주요 이민정책의 형성과 변화에 영향을 미친 국내외 주요 요인들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주차별 학습내용
- 2025-04-21
- 90
-
공공외교와 세계
Korea’s Contributive Diplomacy (수강용)
강좌명 Korea’s Contributive Diplomacy 교수 김수원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강좌소개 Provision of global public goods is a genuine way of practicing public diplomacy. Contributive diplomacy is a straightforward means to make the world a better place and to bolster soft power. This course introduces varied practices of contributive diplomacy of Korea including sharing development experience, building a national museum, inviting young film producers for training, designing a new city, and deploying anti-piracy naval units. 주차별 학습내용 1주차 "Contributive Diplomacy" of Korea: Sharing Knowledge 2주차 ICT 3주차 Cities 4주차 Film 5주차 Sports 6주차 Peace 7주차 Cultural Heritage Diplomacy
- 2025-05-01
- 48
-
공공외교와 세계
위안부 및 강제동원과 한일 관계 (수강용)
강좌명 위안부 및 강제동원과 한일 관계 교수 송석원(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강좌소개 본 강좌는 일본군’위안부’와 강제동원 노동자를 낳은 근원인 일본의 제국주의 형성과정 학습에서 출발해 문제의 구체적 ‘사실’과 그러한 사실을 둘러싼 ‘쟁점’을 정리하고 이러한 ‘역사’ 현안의 현재적 실상 파악과 향후의 과제를 고민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주차별 학습내용 1주차 한일관계와 ‘역사’ 현안 2주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제기 3주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본질과 쟁점 4주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발자취 5주차 일본군 ‘위안부’를 둘러싼 소송과 논쟁 6주차 강제 연행 노동자 문제 7주차 일본군 ‘위안부’ 및 강제 연행 노동자 문제의 과제와 한일관계
- 2025-05-01
- 50
-
공공외교와 세계
한국 속의 중국, 중국 속의 한국(수강용)
강좌명 한국 속의 중국, 중국 속의 한국 교수 장영덕/인하대학교 강좌소개 문화교류의 관점에서 한국 속의 중국과 중국 속의 한국을 살펴봄으로써 한중 간 상호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문화교류는 국가 간 관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특히 관계가 경색되어 있을 때 큰 힘을 발휘한다. 따라서 양국 간 문화교류의 내용과 형태 등을 자세히 이해하면 이를 통해 양국 국민의 상호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다. 주차별 학습내용
- 2025-04-21
- 94
-
공공외교와 세계
한국의 공공외교와 세계(수강용)
강좌명 한국의 공공외교와 세계 교수 이진영/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강좌소개 이 강의는 21세기들어 국제관계에서 중시되고 있는 공공외교가 한국에서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다양한 공공외교의 양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입니다. 주차별 학습내용
- 2025-04-21
- 107
-
공공외교와 세계
한국의 문화외교와 중국 속의 한류 (수강용)
강좌명 한국의 문화외교와 중국 속의 한류 교수 장영덕 /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강좌소개 이 강의는 우선 한국의 문화외교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의 문화외교를 대표하는 대중문화 환류에 대해 이해한다. 그리고 한류가 가장 성공적으로 정착한 대표적인 나라인 이웃 국가 중국 속 한류는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인지 살펴본다. 한국은 빠른 경제발전을 통해 세계적인 경제 강국으로 발돋움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제는 대표적인 문화 강국으로써의 면모를 전 세계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있다. 특히 전통문화와 함께 K-pop, K-movie, K-drama, K-food 등 한류 혹은 K-culture로 대표되는 한국의 대중문화는 전 세계 사람들에게 한국을 알리는 중요한 통로가 되었다. 싸이의 강남스타일을 들으면서 한국의 강남을 떠올리고, BTS를 통해 한국을 좋아하게 된다. 한국의 유명 드라마나 영화를 통해서는 한국의 문화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이처럼 한류는 한국 문화외교의 근간이 되고 있으며, 외교무대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중국은 문화적으로 오랜 기간 한국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오던 나라이다. 특히 1992년 한중수교 이후 한류가 본격적으로 중국에 진출하면서 많은 중국 사람들이 한국을 좋아하게 되었고, 한류는 중국 사람들이 여전히 좋아하는 대상이다. 그렇다면 한국의 문화외교는 어떠하고, 중국 속 한류는 어떤 모습일까? 본 강의는 한국의 문화외교와 중국 속 한류에 대해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주차별 학습내용
- 2023-04-12
- 2097
-
융복합 콘텐츠
East Asian States’ Leadership in International Law
강좌명 East Asian States’ Leadership in International Law 교수 이석우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강좌소개 This lectures will provide for enhancing discussions and dialogue to advance what Western scholars might classify as “outsiders’ perspectives” to international law, which are currently not present within mainstream international law textbooks. 주차별 학습내용 1주차 East Asian States’ Leadership in International Law 2주차 East Asian States’ Leadership in International Law 2 3주차 East Asian States’ Leadership in International Law 3 4주차 Asian State Practice in the Domestic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Law 1 5주차 Asian State Practice in the Domestic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Law 2 6주차 East Asia’s Cultural Influence on the Law of the Sea 1 7주차 East Asia’s Cultural Influence on the Law of the Sea 2
- 2025-05-01
- 61
-
융복합 콘텐츠
Korean Cinema: A View from Russia (수강용)
강좌명 Korean Cinema: A View from Russia 교수 Rimma Tangalycheva (St.Petersburg University) 강좌소개 This course provides an overview of Korean cinema from its invention to the present day. The purpose of the course is to acquaint students interested in Korean studies with the main achievements of Korean cinema. The peculiarity of the course is that it represents the Russian vision of Korean cinema, a specific view of Russian viewers and film critics. Another distinguishing feature of the course is that it analyzes contemporary South Korean films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주차별 학습내용 1주차 Introduction. History of Korean Cinema 2주차 Im Kwon-taek: the Living Legend of Korean Cinema 3주차 The Sorrowful Realism of Lee Chang-dong 4주차 Bong Joon-ho: Cinema for Social Change? 5주차 Zombie Apocalypse Yeon Sang-ho 6주차 Mathematical Impressionism by Hong Sang-soo 7주차 Feminist Wave in South Korean Cinema
- 2025-05-01
- 69
-
융복합 콘텐츠
한국춤을 통한 한국문화 읽기 Ⅱ (수강용)
강좌명 한국춤을 통한 한국문화 읽기 Ⅱ(한국춤의 세계화) 교수 양민아 (중앙대학교) 강좌소개 본 강의는 19세기 중반부터 조선 말기 전통춤이 다른 문화들과 소통하며 변화하는 모습을 알아볼 것이다. 특히 19세기 중반부터 세계로 흩어진 한민족에 의해 향유되고 있는 한국춤의 경향을 통해 한국춤의 세계화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먼저 구소련(러시아와 중앙아시아), 중국 연변, 일본, 미국 하와이 등으로 퍼져 나간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이주사와 함께 디아스포라 문화에서 춤으로 대표되는 전통 공연예술들을 어떻게 향유하고 있는지 또 전통 공연예술활동이 어떠한 의미를 담고 있는지 알아볼 것이다. 반대로 구소련 지역에 거주했던 고려인들은 2000년대 이후 대한민국으로 재이주를 하며 대한민국 사회에서 반전된 형식의 디아스포라를 형성하며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을 펼치고 있다. 본 강의에서는 대표적으로 광주 고려인마을의 문화예술활동을 사례를 통해 상호문화시대를 맞아 공연예술활동의 사회적 역할과 가치 중요성에 대해 고민해 보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주차별 학습내용 1주차 조선시대 전통춤의 근대화와 세계화 과정 2주차 러시아 연해주의 고려인들과 일제강점기 조선의 공연예술의 근대화 3주차 구소련 시기 고려인들의 공연예술 활동과 고려극장들 4주차 소련 해체 이후, 고려인들의 공연예술 활동과 그 의미 5주차 중국 연변 한인들의 공연예술 활동 6주차 일본 한인들의 공연예술 활동 7주차 미국 하와이 한인들의 공연예술 활동
- 2025-05-01
- 49
-
융복합 콘텐츠
재외동포 문학과 정체성 (수강용)
강좌명 재외동포 문학과 정체성 교수 이혜영 (중국해양대학교 한국어학과) 강좌소개 해방이전 '만주국' 시기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각 시기의 조선족 문학(조선인 문학) 작품을 그 창작시기와 창작 주체와의 연관 속에서 이해하며 그러한 문학을 탄생시킨 창작 주체이자 동시에 그 문학의 대상이며 향유 계층으로서의 조선족의 정체성의 문제를 구명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차별 학습내용 1주차 조선족과 조선족 문학 2주차 중국 조선족 문학의 전사(前史)-재'만주(滿洲)' 조선인 문학 3주차 건국 초기 조선족 문학과 중화인민공화국 국민으로서의 정체성의 확립 4주차 1960년대 초반 조선족의 혁명서사와 국민적 정체성의 강조 5주차 1980년대 조선족의 혁명서사와 국민적 정체성의 재정립 6주차 ‘뿌리 찾기 문학’과 중국 조선족의 정체성 찾기 7주차 한중 수교 이후 조선족의 혁명서사와 국가적 정체성의 재 결집
- 2025-05-01
- 48
-
융복합 콘텐츠
Korea and Korean Diaspora Through Food and Culture(수강용)
강좌명 Korea and Korean Diaspora Through Food and Culture 교수 송창주/University of Auckland Dept. of Korean and Asian Studies 강좌소개 This course is to help the general public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cultural history of Korea and Koreans in and out of Korea through their past and present food and culinary practices. 주차별 학습내용
- 2025-04-21
- 111
연구·출판
-
K-학술확산 활동
박승욱 교수, 유홍성 교수 – 산 마르코스 국립대학교 방문 및 중남미 확산 활동
2025년 4월 28일, 인하대학교 경영학과 박승욱 교수와 유홍성 교수는 페루 리마에 위치한 산 마르코스 국립대학교를 방문해 산업공학과 학장인 Julio Alejandro Bacalla Rooms 교수 및 교수진 7명과 면담을 가졌다. 사회과학 분야의 공통 관심사 속에서, 박 교수와 유 교수는 K-학술확산연구센터가 제작한 ‘한국의 경제와 산업화’ 등 K-MOOC 강좌에 포함된 정치경제 관련 콘텐츠를 소개하였고 현지 교수진은 해당 강좌에 깊은 관심을 보이며 중남미 지역 내 한국학 수요 확대를 위한 협력 의지를 밝혔다. 이날 면담에서 K-MOOC의 취지와 주요 강좌를 설명하고 홍보용 팸플릿을 활용해 플랫폼 접속 방법과 강좌 활용 방안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안내하였다. 1551년 설립된 산 마르코스 국립대학교는 중남미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교육기관 중 하나로, 현재 약 3만 명의 학부생과 3,500명의 대학원생이 재학 중이다. 최근 이곳 학생들 사이에서는 한류를 넘어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에 대한 학문적 관심도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한국학 콘텐츠에 대한 잠재 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이번 방문은 사회과학 기반의 한국학 콘텐츠가 중남미 지역에 확산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앞으로도 교수진과 학생들을 중심으로 K-MOOC 활용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K-학술확산연구센터는 향후에도 중남미 지역의 연구자 및 교육기관과의 협력을 지속 확대하며 K-학술의 국제적 확산과 위상 강화를 위한 노력을 이어갈 것이다.
- 2025-05-14
-
K-학술확산 활동
성동기 공동연구원 – 러시아 방문 및 확산 활동, 러시아에서 한국학 열기 확인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 K-학술확산연구센터의 공동연구원인 성동기 교수는 2025년 4월 러시아를 방문해 다양한 확산 활동을 펼쳤다. 성 교수는 주러시아 한국문화원의 박정곤 문화원장 및 관계자들과 면담하고, K-학술확산연구사업의 취지와 주요 내용을 소개하였다. 박 원장은 해당 사업을 러시아 현지에서 적극 홍보하겠다고 하며 협력 의사를 밝혔다. 이어 성 교수는 주러시아 한국대사관을 방문해 조성관 공사 겸 총영사와도 면담하였고 조 공사는 K-학술 사업에 깊이 공감하며 지원하겠다고 약속하였다. 또한 성 교수는 러시아 고등경제대학교 한국어과의 파벨 리샤코프 교수, 모스크바 원광학교의 유미정 교수 및 관계자들과도 만남을 갖고 온라인 공개강좌인 K-MOOC를 중심으로 K-학술확산연구사업을 소개하였고 강좌 접속 방법과 활용 방안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고등경제대학교와 원광학교는 K-학술확산사업에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고학년 수업에서 K-MOOC 강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번 방문은 한국 사회과학 분야 콘텐츠의 러시아 내 확산 가능성을 확인한 계기가 되었으며, 향후 해당 기관 학생들을 중심으로 K-MOOC 활용이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러시아 내 한국학에 대한 관심은 매우 높다. 원광학교가 운영하는 세종학당의 수강생은 약 1천 명에 달하며, 해당 학교가 주최하는 한국문화 행사에는 5천 명이 넘는 인원이 참여할 정도다. 그러나 최근 전쟁의 여파로 한국 기업들의 후원이 줄어들면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제 한국과 러시아의 관계 회복은 ‘한국학’을 매개로 다시 이어가야 할 시점이다. K-학술확산연구센터는 앞으로도 세계 각국의 연구자 및 교육기관과의 협력을 확대해 나가며, 한국학의 국제적 확산과 위상 제고를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다.
- 2025-05-13
-
K-학술확산 활동
이진영 소장 – 베트남 하노이에서 K학술확산 활동 전개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 이진영 소장은 2025년 4월 30일부터 5월 4일까지 베트남 하노이를 방문해 K학술확산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4월 30일, 이 소장은 베트남 하노이 국립대학교 한국학과를 방문해 하우리 교수 등과 면담을 진행하고, 인하대학교가 추진 중인 K학술확산연구소사업의 취지와 주요 내용을 소개하였다. 특히 K학술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온라인 공개강좌(K-MOOC)의 접근 방식과 교육적 활용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어 5월 2일에는 ‘세계한인총연합회 역량 강화 세미나’에 참석해 100분 토론의 사회를 맡고, 특별강연을 진행하였다. 세계한인회총연합회는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와 MoU를 체결한 기관으로,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강좌 링크를 제공하며 전 세계 한인들에게 K학술 콘텐츠를 확산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번 방문은 하노이 현지 한국학 교육기관 및 한인사회와의 연계를 통해 사회과학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K학술 콘텐츠가 베트남에 자리 잡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하노이 한국국제학교 김경록 이사장과 UN 하노이 국제학교(UNIS)의 Maria Soo Chung(정수영) 이사장에게 사업을 소개하고 브로셔를 전달하며 향후 교육적 협력 가능성도 모색하였다. K학술확산연구센터는 앞으로도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세계 각국의 교육기관 및 연구자들과의 협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며, K학술의 국제적 위상 강화를 위한 노력을 이어갈 예정이다.
- 2025-05-12
-
국내
[인천뉴스] 인하대 국제관계연구소,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 기념 국제학술세미나
[인천뉴스] 김종국 기자, 인하대 국제관계연구소,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 기념 국제학술세미나, 2025.04.11. http://www.incheon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25129
- 2025-04-16
-
국내
[교수신문] 인하대, 연구저서 ‘글로벌 한국학의 현황과 발전 방향’ 2024년 세종도서 학술 부문 선정
[교수신문] 방완재 기자, 인하대, 연구저서 ‘글로벌 한국학의 현황과 발전 방향’ 2024년 세종도서 학술 부문 선정, 2025.04.11.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133165
- 2025-04-16
-
국내
[동북아신문] 재일본 조선족연구자 지식인 네트워크 2024년도 보고회 성황리에 개최
[동북아신문] 재일본 조선족연구자 지식인 네트워크 2024년도 보고회 성황리에 개최, 2024.11.24 http://www.db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8087
- 2024-11-26

뉴스레터 구독
인하대학교 K학술확산연구센터의 뉴스레터 구독을 원하시면 정보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