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비주얼 영역
- 한국학으로서 정치외교학에 관한 콘텐츠 플랫폼 구축
- 국내외 외국인들의 수요를 반영한 새로운 한국학 관련 콘텐츠 개발
- 온라인 강좌 개발·제작·보급·확산
- 미래 한국학 후속세대 양성에 기여 및 해외 한국학 네트워크 구축
공지사항
- 인하대 국제관계연구소 – 몽골국립대 국제관계대학 국제학술대회 공동 개최 2023-06-02
- [인하대 국제관계연구소] 2023 공공외교 한마당 개최 2023-05-30
- 인하대 국제관계연구소 – K학술확산연구센터 2차년도 제7차 콜로키움 안내 2023-05-25
-
정체성의 정치
재일동포의 이해
강좌명 재일동포의 이해 교수 송석원 /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강좌소개 2020년 기준 전 세계 193개국에 약 750만 명의 재외동포가 존재하여 남북한 인구를 합한 수의 약 10% 이상을 차지한다. 재외동포는 거주국에서 제각각의 이주사를 기록해왔다. 이 가운데 약 80여만 명으로 남북한 인구의 약 1% 내외, 전체 재외동포의 약 10.7% 정도를 차지하는 재일동포는 일제강점기의 강제 노동력 수탈과 연동된 측면이 강하고, 따라서 제국주의와 식민지주의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 속에 있다. 한일관계가 여전히 과거사 문제를 둘러싸고 갈등 관계를 지속하는 측면이 강하다는 점에서 재일동포의 존재는 한국 현대사와 현대 한일관계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일동포를 주제로 한 연구는 연구자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을 뿐이어서, 상대적으로 일반 대중들의 관심은 적은 편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 강의는 재일동포를 주제로 그들의 형성 배경, 일본에서의 삶의 양상, 모국과의 관계 등을 알아본다. 재일동포의 삶에 대한 이해를 통해 재외동포 전체를 고민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재외한인의 스토리는 하나하나가 그들의 개인사인 동시에 한국사의 중요한 뿌리를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온전한 한국 사회 역사의 완성에 재외한인의 역사는 마지막 퍼즐의 한 조각일 수 있다. 재일동포의 삶을 통해 글로벌 한국인의 역동성의 한 측면을 이해하는 것이 이 강의의 목표입니다. 주차별 학습내용 차수 학습내용 1주차 한인 이주사 속 재일동포 2주차 제국주의와 재일동포 3주차 전후 일본의 재일동포 4주차 전후 재일동포의 생활과 차별 5주차 재일동포 밀집 지역 6주차 재일동포 문학 7주차 재일동포와 한반도의 관계짓기 8주차 한류와 혐한 사이의 재일동포 9주차 한일관계와 재일동포 10주차 재일동포 사회의 발전
- 2023-04-14
- 156
-
정치외교학 일반
한국의 민주화와 민주주의
강좌명 한국의 민주화와 민주주의 교수 고상두 / Yonsei University 강좌소개 이 강의에서는 한국의 경제성장과 민주주의의 역사를 소개하고 그 성공 배경을 설명한다. 이를 위해 1주에서 2주까지 한국 산업화의 역사를 소개하고, 그 성공배경으로서 발전국가와 개방경제 전략을 설명한다. 3주에서는 제왕적 대통령제에 관하여 설명하고 불행했던 한국의 정치사를 소개한다. 그리고 이어서 4주와 5주에서 각각 민주화와 민주주의의 공고화에 관하여 설명한다. 6주에서 8주까지는 오늘날 한국의 정치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문화적 요인에 관하여 설명한다. 그리하여 6주에는 종교, 7주에는 유교, 그리고 8주에는 민족주의에 관한 강의를 한다. 9주와 10주에서는 한국의 미래 기적이 될 남북통일을 주제로 다룹니다. 그리하여 9주에서는 통일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을 소개하고 10주에서는 한미 간의 협력과 갈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민주주의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수준의 경제발전이 필요하다. 한국은 산업화의 성공이 평화적 민주화와 민주주의의 공고화를 위해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 강의는 여러분들이 한국사회를 정치경제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주차별 학습내용 차수 학습내용 1주차 산업화: 발전국가 전략 2주차 개방경제 전략 3주차 대통령의 권력과 역사 4주차 민주적 체제전환 5주차 민주주의의 공고화 6주차 종교와 정치문화 7주차 유교 민주주의 8주차 한국의 민족주의 9주차 통일과 주변국 인식 10주차 한국의 반미주의
- 2023-04-14
- 251
-
융복합 콘텐츠
The Making of International Law and Korea
강좌명 The Making of International Law and Korea 교수 이석우 /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강좌소개 본 강좌의 목적은 국제법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통해 한국에서의 국제법의 역할과 의의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설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주차는 주제를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 국제법 과정의 필수 주제에 대한 간결하고 집중적인 소개를 합니다. 2주차는 일제강점기 이전의 격동기 시기에 동북아시아 중국 중심적 질서에 서구의 국제법 질서로의 이동을 설명합니다. 3주차는 한국이 국제법을 사용하여 어떻게 국제관계의 민감한 문제를 다루는지에 대해 설명합니다. 4주차는 일제에 의한 한국의 식민지화와 2차 세계대전 직후의 맥락서 국제법의 역할에 대한 설명을 제공합니다. 5주차는 일제의 식민화가 한국에 미친 영향과 해결되지 않은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국제법의 역할에 대해 설명합니다. 6주차는 분단국가인 한국의 상황과 관련된 국제법적 문제에 대한 설명을 제공합니다. 7주차는 학생들에게 한일 간의 뜨거운 논쟁과 그 문제를 둘러싼 법적 문제에 대한 설명을 제공합니다. 8주차는 학생들에게 한국의 주요 인권 문제에 대한 배경과 이에 대한 설명을 제공합니다. 9주차는 한국의 해양 문제의 주요 법률에 대해 설명합니다. 10장은 동북아시아에서 한국의 전략적 위치와 관련된 국제법적 문제에 대해 설명합니다. 주차별 학습내용 차수 학습내용 1주차 Notes on International Law in General 2주차 Korea’s Encounter with the Modern International Legal System 3주차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Law in Korea 4주차 The Legacy of Colonialism 5주차 The Legacy of Colonialism / International Legal Issues arising from the Korean War and Inter-Korean Relations 6주차 International Legal Issues arising from the Korean War and Inter-Korean Relations 7주차 Territorial Disputes-General and Specific Discussion of Particular Cases: Dokdo 8주차 Democracy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9주차 Law of the Sea 10주차 Korea-US Relationship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Law / The Making of International Law in Korea
- 2023-04-12
- 138
-
융복합 콘텐츠
한국춤을 통한 한국문화 읽기 I(한국춤의 기원부터 K-POP까지)
강좌명 한국춤을 통한 한국문화 읽기 I(한국춤의 기원부터 K-POP까지) 교수 양민아 /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HK 연구교수 강좌소개 이 강의의 목표는 각 시대별 춤문화를 통해 한국의 문화와 역사 그리고 한국춤의 특징과 미학을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을 갖는 것입니다. 본 강좌의 목적은 한국춤의 기원부터 K-POP까지 한국 역사의 흐름 속에서 나타난 한국 전통춤의 형성과정과 다양한 한국의 춤문화 현상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 강의는 이론 강의와 기타 활동 시간에 다양한 춤 영상을 감상하는 시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면 한민족의 역사와 함께해온 한민족의 춤문화에 대해 알아보는 수업을 저와 함께 시작해 볼까요? 주차별 학습내용 차수 학습내용 1주차 한국춤의 기원과 부족국가 시대의 춤문화 2주차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춤문화 3주차 조선 전기의 춤문화 4주차 조선 후기의 춤문화 5주차 20세 초 근대시기의 춤문화Ⅰ: 신무용의 등장과 최승희 6주차 20세 초 근대시기의 춤문화Ⅱ: 서양 춤문화의 수용과 무도의 시대 7주차 해방공간과 대한민국의 춤문화 8주차 최승희와 북한무용의 형성과 발전 9주차 현대의 춤문화: K-POP의 등장과 세계화 10주차 세계 속의 한국춤: 러시아 한인 디아스포라의 춤문화
- 2023-04-12
- 124
-
공공외교와 세계
한국의 문화외교와 중국 속의 한류
강좌명 한국의 문화외교와 중국 속의 한류 교수 장영덕 /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강좌소개 이 강의는 우선 한국의 문화외교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의 문화외교를 대표하는 대중문화 환류에 대해 이해한다. 그리고 한류가 가장 성공적으로 정착한 대표적인 나라인 이웃 국가 중국 속 한류는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인지 살펴본다. 한국은 빠른 경제발전을 통해 세계적인 경제 강국으로 발돋움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제는 대표적인 문화 강국으로써의 면모를 전 세계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있다. 특히 전통문화와 함께 K-pop, K-movie, K-drama, K-food 등 한류 혹은 K-culture로 대표되는 한국의 대중문화는 전 세계 사람들에게 한국을 알리는 중요한 통로가 되었다. 싸이의 강남스타일을 들으면서 한국의 강남을 떠올리고, BTS를 통해 한국을 좋아하게 된다. 한국의 유명 드라마나 영화를 통해서는 한국의 문화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이처럼 한류는 한국 문화외교의 근간이 되고 있으며, 외교무대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중국은 문화적으로 오랜 기간 한국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오던 나라이다. 특히 1992년 한중수교 이후 한류가 본격적으로 중국에 진출하면서 많은 중국 사람들이 한국을 좋아하게 되었고, 한류는 중국 사람들이 여전히 좋아하는 대상이다. 그렇다면 한국의 문화외교는 어떠하고, 중국 속 한류는 어떤 모습일까? 본 강의는 한국의 문화외교와 중국 속 한류에 대해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주차별 학습내용 차수 학습내용 1주차 문화외교란 무엇인가 2주차 문화외교의 이론과 실천 3주차 한국 문화외교의 발전과정 1 4주차 한국 문화외교의 발전과정 2 5주차 한국의 대중문화와 한류 6주차 한류의 발전과정과 성과 7주차 중국 속 한류 1 8주차 중국 속 한류 2 9주차 중국 속 한류 3 10주차 중국 속 한류 4
- 2023-04-12
- 178
-
정치외교학 일반
한국의 민주화와 민주주의
강좌명 한국의 민주화와 민주주의 교수 고상두 / Yonsei University 강좌소개 이 강의에서는 한국의 경제성장과 민주주의의 역사를 소개하고 그 성공 배경을 설명한다. 이를 위해 1주에서 2주까지 한국 산업화의 역사를 소개하고, 그 성공배경으로서 발전국가와 개방경제 전략을 설명한다. 3주에서는 제왕적 대통령제에 관하여 설명하고 불행했던 한국의 정치사를 소개한다. 그리고 이어서 4주와 5주에서 각각 민주화와 민주주의의 공고화에 관하여 설명한다. 6주에서 8주까지는 오늘날 한국의 정치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문화적 요인에 관하여 설명한다. 그리하여 6주에는 종교, 7주에는 유교, 그리고 8주에는 민족주의에 관한 강의를 한다. 9주와 10주에서는 한국의 미래 기적이 될 남북통일을 주제로 다룹니다. 그리하여 9주에서는 통일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을 소개하고 10주에서는 한미 간의 협력과 갈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민주주의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수준의 경제발전이 필요하다. 한국은 산업화의 성공이 평화적 민주화와 민주주의의 공고화를 위해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 강의는 여러분들이 한국사회를 정치경제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주차별 학습내용 차수 학습내용 1주차 산업화: 발전국가 전략 2주차 개방경제 전략 3주차 대통령의 권력과 역사 4주차 민주적 체제전환 5주차 민주주의의 공고화 6주차 종교와 정치문화 7주차 유교 민주주의 8주차 한국의 민족주의 9주차 통일과 주변국 인식 10주차 한국의 반미주의
- 2023-04-14
- 251
-
정치외교학 일반
한국의 의회정치
강좌명 한국의 의회정치 교수 최준영 /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강좌소개 한국의 의회정치라는 주제로 10주차에 걸쳐 진행되는 이 강의는 1987년 민주화 이후 대한민국의 국회가 전반적으로 어떻게 구성되고 운영되어 왔는지 살펴보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입법부로서 정부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국회는 대의민주주의 체제의 필요불가결한 기관이라 할 수 있다. 1987년 민주화 이후 대한민국 국회는 그 위상과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강화시켜 나가고 있으며, 이제 국회를 빼고는 한국정치를 논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 다시 말해 한국정치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국회에 대한 지식이 반드시 필요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에 이 강의는 총 10개의 주제별로 한국의 의회정치가 현재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대한민국 국회에 대한 역사적, 정치적 배경을 소개하는 첫 번째 강의를 제외한 나머지 강의는 국회의 제도와 제도 안에서 움직이는 정치 행위자의 행태 등 두 가지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고자 한다. 제도와 정치 행위자의 행태 사이의 상호작용을 살펴보면서 국회가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 민주화 이후 어떠한 발전을 이루어냈는지, 그리고 그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문제점이 존재하는지 얘기해 보고자 한다. 주차별 학습내용 차수 학습내용 1주차 대한민국 국회 들어가기 2주차 국회의원 선거제도 3주차 의원의 충원 4주차 국회의 구성과 리더십 5주차 국회 상임위원회 제도 6주차 국회 입법과정 7주차 국회의 예산 결산 심의과정 8주차 국회의 대행정부 견제기능 9주차 국회와 사법부 10주차 국회의원 윤리와 정치자금
- 2023-04-12
- 154
-
정치외교학 일반
Korea and International Relations
강좌명 Korea and International Relations 교수 김의곤 /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강좌소개 본 강좌의 목적은 전반부에서는 한국의 현재 외교 정책을 이해하기 위한 현대국제학 이론을 소개하고 후반부에서는 안보, 무역 및 북한과의 평화적 통일과 같은 대한민국의 구체적인 외교 정책 문제를 다루는 것이다. 주차별 학습내용 차수 학습내용 1주차 State of Anarchy: State of War 2주차 Escape from Anarchy 3주차 Actors of IR 4주차 Theories of Integration 5주차 Game Theories 6주차 Historical Factor: history of division 7주차 Korean Foreign Policy: Factors 8주차 Korean Foreign Policy : Issues 9주차 Unification 10주차 Middle-Power Diplomacy
- 2023-04-12
- 184
-
정치외교학 일반
[Inha K학술확산연구센터] 강좌촬영 메이킹영상
[Inha K학술확산연구센터] 강좌촬영 메이킹영상
- 2023-02-11
- 89
-
정치외교학 일반
[Inha K학술확산연구센터] 강좌촬영 메이킹영상
[Inha K학술확산연구센터] 강좌촬영 메이킹영상
- 2022-04-01
- 88
-
정체성의 정치
재일동포의 이해
강좌명 재일동포의 이해 교수 송석원 /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강좌소개 2020년 기준 전 세계 193개국에 약 750만 명의 재외동포가 존재하여 남북한 인구를 합한 수의 약 10% 이상을 차지한다. 재외동포는 거주국에서 제각각의 이주사를 기록해왔다. 이 가운데 약 80여만 명으로 남북한 인구의 약 1% 내외, 전체 재외동포의 약 10.7% 정도를 차지하는 재일동포는 일제강점기의 강제 노동력 수탈과 연동된 측면이 강하고, 따라서 제국주의와 식민지주의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 속에 있다. 한일관계가 여전히 과거사 문제를 둘러싸고 갈등 관계를 지속하는 측면이 강하다는 점에서 재일동포의 존재는 한국 현대사와 현대 한일관계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일동포를 주제로 한 연구는 연구자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을 뿐이어서, 상대적으로 일반 대중들의 관심은 적은 편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 강의는 재일동포를 주제로 그들의 형성 배경, 일본에서의 삶의 양상, 모국과의 관계 등을 알아본다. 재일동포의 삶에 대한 이해를 통해 재외동포 전체를 고민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재외한인의 스토리는 하나하나가 그들의 개인사인 동시에 한국사의 중요한 뿌리를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온전한 한국 사회 역사의 완성에 재외한인의 역사는 마지막 퍼즐의 한 조각일 수 있다. 재일동포의 삶을 통해 글로벌 한국인의 역동성의 한 측면을 이해하는 것이 이 강의의 목표입니다. 주차별 학습내용 차수 학습내용 1주차 한인 이주사 속 재일동포 2주차 제국주의와 재일동포 3주차 전후 일본의 재일동포 4주차 전후 재일동포의 생활과 차별 5주차 재일동포 밀집 지역 6주차 재일동포 문학 7주차 재일동포와 한반도의 관계짓기 8주차 한류와 혐한 사이의 재일동포 9주차 한일관계와 재일동포 10주차 재일동포 사회의 발전
- 2023-04-14
- 156
-
정체성의 정치
구소련에서의 고려인 사회 형성과 발전
강좌명 구소련에서의 고려인 사회 형성과 발전 교수 성동기 / 인하대학교 프런티어학부 강좌소개 한국 근현대사에서 한민족의 비극적인 사건으로 평가받는 1937년 연해주 한인의 강제이주는 냉전체제로 인해서 사실상 잊혀졌다. 그러나 1991년 소비에트연방 붕괴되면서 고려인의 강제와 관련된 역사는 본격적으로 조명을 받을 수 있었다. 고려인의 역사는 크게 5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조선시대 25대 왕인 철종이 즉위한 후 안동 김씨 세도정치로 삼정의 문란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서 경제적인 고통을 받았던 함경도 농민들이 두만강을 건너 러시아의 연해주로 이주노동을 떠났다. 둘째, 연해주로 이주노동을 떠났던 조선의 백성은 점차 증가하였고 일제의 조선 강제합병으로 이들은 러시아에 정착하기 시작하였다. 셋째, 한민족 특유의 근면성으로 연해주에서 성공적으로 정착했던 한인은 1937년 스탈린에 의해서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를 당했다. 넷째,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를 당한 한인은 스스로를 고려인이라고 칭하고 다시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었다. 다섯째, 1991년 소비에트연방이 붕괴되면서 중앙아시아 고려인은 다시 한국으로 이주하면서 그들의 성공적인 마지막 정착을 위해 열심히 살고 있다. 본 강의는 130년에 가까운 고려인의 역사를 10개의 주제로 나우어서 살펴보고자 한다. 주차별 학습내용 차수 학습내용 1주차 1863년 철종 13년 이후 2주차 2차 한인의 이주 3주차 스탈린과 연해주 한인 4주차 강제이주의 시작과 끝 5주차 중앙아시아에서의 새로운 정착 과정 6주차 중앙아시아에서 고려인은 어떻게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었나? 7주차 소련의 대표적인 김병화 집단농장은 어떻게 탄생했나? 8주차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는 고려인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 9주차 고려인의 3차 이주는 어떻게 전개되었을까? 10주차 현재 한국에서 고려인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 2023-04-12
- 131
-
정체성의 정치
한국과 해외동포
강좌명 한국과 해외동포 교수 이진영 /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강좌소개 이 강의는 남북한을 비롯한 전 세계에 흩어져있는 한인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한반도에서 세계로 이주한 한인들의 이주사, 그리고 이주한 곳에서의 한인사회의 형성과 변화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한국과 해외동포의 관계를 알아본다. 이 수업을 통하여, 해외의 한인과 한인사회를 이해하고, 한인사회와 모국이 공동발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생각해봅니다. 무엇보다도 먼저, 내가 사는 지역의 한인들이 어떻게 이 곳으로 왔고, 어떤 사회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외의 한인에 대한 이해, 그것은 곧 한국과 한국인 이해의 기초이기 때문입니다. 자. 여러분! 그러면 이제 전 세계 한인에 대해 알아보는 이 강좌로 이동해보실까요? 주차별 학습내용 차수 학습내용 1주차 글로벌 한인의 분포와 이주역사 개관 2주차 중국으로의 한인 이주 3주차 러시아로의 이주 4주차 일본으로의 이주 5주차 미국으로의 이주 6주차 신이민과 재외동포 현황 7주차 한국으로 오는 재외동포 8주차 한국의 재외동포정책과 사업 9주차 재외동포 사회변화와 쟁점 10주차 상호발전을 위한 정치참여와 역할
- 2023-04-12
- 103
-
정체성의 정치
한국사회와 정체성
강좌명 한국사회와 정체성 교수 김성진 /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부 정치외교학과 강좌소개 이 강의에서는 사회 내 다양한 차이에 기초해 발전하는 정체성 형성과 발전을 살펴보고, 정체성 갈등이 사회발전의 역동성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는 데 있다. 세계화와 함께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국가/사회집단 간 교류증대와 인간의 이동을 촉진하고 있다. 인간 이동은 서로 다른 문화와 가치의 이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변화는 사회발전의 기회임과 동시에 사회내 존재하는 다양한 차이와 함께 사회내 갈등을 증복시키는 요소가 된다. 세계화와 함께 증폭되는 차이와 차별의 문제는 민주주의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체제경쟁과정에서 보다 나은 선택으로 인식되었던 민주주의는 여전히 소수를 배제하는 한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보편적 인권에 대한 강조에도 불구하고 소수의 인권보호에 어려움을 안고 있다. 한국사회 역시 세계화와 민주화 과정에서 사회 내 차이가 차별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 강의에서는 한국 사회의 정체성 문제를 통해 한국 사회에 대한 이해와 함께 한국사회가 안고 있는 과제를 이론과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있다. 주차별 학습내용 차수 학습내용 1주차 차이와 민주주의 2주차 정체성 이론 3주차 정체성과 사회안보 4주차 정체성과 지역주의 5주차 온라인 페미니즘 6주차 여성의 사회참여 7주차 이주/다문화 8주차 여성이주/결혼이주 9주차 난민과 정체성 갈등 10주차 한국사회 정체성
- 2023-04-12
- 122
-
-
공공외교와 세계
한국의 문화외교와 중국 속의 한류
강좌명 한국의 문화외교와 중국 속의 한류 교수 장영덕 /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강좌소개 이 강의는 우선 한국의 문화외교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의 문화외교를 대표하는 대중문화 환류에 대해 이해한다. 그리고 한류가 가장 성공적으로 정착한 대표적인 나라인 이웃 국가 중국 속 한류는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인지 살펴본다. 한국은 빠른 경제발전을 통해 세계적인 경제 강국으로 발돋움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제는 대표적인 문화 강국으로써의 면모를 전 세계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있다. 특히 전통문화와 함께 K-pop, K-movie, K-drama, K-food 등 한류 혹은 K-culture로 대표되는 한국의 대중문화는 전 세계 사람들에게 한국을 알리는 중요한 통로가 되었다. 싸이의 강남스타일을 들으면서 한국의 강남을 떠올리고, BTS를 통해 한국을 좋아하게 된다. 한국의 유명 드라마나 영화를 통해서는 한국의 문화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이처럼 한류는 한국 문화외교의 근간이 되고 있으며, 외교무대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중국은 문화적으로 오랜 기간 한국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오던 나라이다. 특히 1992년 한중수교 이후 한류가 본격적으로 중국에 진출하면서 많은 중국 사람들이 한국을 좋아하게 되었고, 한류는 중국 사람들이 여전히 좋아하는 대상이다. 그렇다면 한국의 문화외교는 어떠하고, 중국 속 한류는 어떤 모습일까? 본 강의는 한국의 문화외교와 중국 속 한류에 대해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주차별 학습내용 차수 학습내용 1주차 문화외교란 무엇인가 2주차 문화외교의 이론과 실천 3주차 한국 문화외교의 발전과정 1 4주차 한국 문화외교의 발전과정 2 5주차 한국의 대중문화와 한류 6주차 한류의 발전과정과 성과 7주차 중국 속 한류 1 8주차 중국 속 한류 2 9주차 중국 속 한류 3 10주차 중국 속 한류 4
- 2023-04-12
- 178
-
-
-
-
-
융복합 콘텐츠
The Making of International Law and Korea
강좌명 The Making of International Law and Korea 교수 이석우 /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강좌소개 본 강좌의 목적은 국제법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통해 한국에서의 국제법의 역할과 의의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설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주차는 주제를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 국제법 과정의 필수 주제에 대한 간결하고 집중적인 소개를 합니다. 2주차는 일제강점기 이전의 격동기 시기에 동북아시아 중국 중심적 질서에 서구의 국제법 질서로의 이동을 설명합니다. 3주차는 한국이 국제법을 사용하여 어떻게 국제관계의 민감한 문제를 다루는지에 대해 설명합니다. 4주차는 일제에 의한 한국의 식민지화와 2차 세계대전 직후의 맥락서 국제법의 역할에 대한 설명을 제공합니다. 5주차는 일제의 식민화가 한국에 미친 영향과 해결되지 않은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국제법의 역할에 대해 설명합니다. 6주차는 분단국가인 한국의 상황과 관련된 국제법적 문제에 대한 설명을 제공합니다. 7주차는 학생들에게 한일 간의 뜨거운 논쟁과 그 문제를 둘러싼 법적 문제에 대한 설명을 제공합니다. 8주차는 학생들에게 한국의 주요 인권 문제에 대한 배경과 이에 대한 설명을 제공합니다. 9주차는 한국의 해양 문제의 주요 법률에 대해 설명합니다. 10장은 동북아시아에서 한국의 전략적 위치와 관련된 국제법적 문제에 대해 설명합니다. 주차별 학습내용 차수 학습내용 1주차 Notes on International Law in General 2주차 Korea’s Encounter with the Modern International Legal System 3주차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Law in Korea 4주차 The Legacy of Colonialism 5주차 The Legacy of Colonialism / International Legal Issues arising from the Korean War and Inter-Korean Relations 6주차 International Legal Issues arising from the Korean War and Inter-Korean Relations 7주차 Territorial Disputes-General and Specific Discussion of Particular Cases: Dokdo 8주차 Democracy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9주차 Law of the Sea 10주차 Korea-US Relationship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Law / The Making of International Law in Korea
- 2023-04-12
- 138
-
융복합 콘텐츠
한국춤을 통한 한국문화 읽기 I(한국춤의 기원부터 K-POP까지)
강좌명 한국춤을 통한 한국문화 읽기 I(한국춤의 기원부터 K-POP까지) 교수 양민아 /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HK 연구교수 강좌소개 이 강의의 목표는 각 시대별 춤문화를 통해 한국의 문화와 역사 그리고 한국춤의 특징과 미학을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을 갖는 것입니다. 본 강좌의 목적은 한국춤의 기원부터 K-POP까지 한국 역사의 흐름 속에서 나타난 한국 전통춤의 형성과정과 다양한 한국의 춤문화 현상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 강의는 이론 강의와 기타 활동 시간에 다양한 춤 영상을 감상하는 시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면 한민족의 역사와 함께해온 한민족의 춤문화에 대해 알아보는 수업을 저와 함께 시작해 볼까요? 주차별 학습내용 차수 학습내용 1주차 한국춤의 기원과 부족국가 시대의 춤문화 2주차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춤문화 3주차 조선 전기의 춤문화 4주차 조선 후기의 춤문화 5주차 20세 초 근대시기의 춤문화Ⅰ: 신무용의 등장과 최승희 6주차 20세 초 근대시기의 춤문화Ⅱ: 서양 춤문화의 수용과 무도의 시대 7주차 해방공간과 대한민국의 춤문화 8주차 최승희와 북한무용의 형성과 발전 9주차 현대의 춤문화: K-POP의 등장과 세계화 10주차 세계 속의 한국춤: 러시아 한인 디아스포라의 춤문화
- 2023-04-12
- 124
-
-
-
연구·출판
-
국제학술대회
'East Asian Cooperation in a Divided World'
'East Asian Cooperation in a Divided World' 지난 5월 26일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는 몽골국립대 국제관계대학과 함께 몽골국립대학교에서 'East Asian Cooperation in a Divided World'이라는 주제로 국제학술대회를 공동 개최했다.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와 몽골국립대 국제관계대학이 공동 주최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후원으로 개최된 이번 국제학술대회는 몽골국립대와의 교류 20주년을 기념하고 K학술확산연구소 사업의 영문교과서 출판과 연관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학술대회는 몽골국립대 Badarch Dendev 총장, 인하대 국제관계연구소 이진영 소장, 인하대 정치외교학과 김의곤 교수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총 4개 세션에 걸쳐 주제발표와 토론이 진행되었다. 첫 번째 세션 주제는 ‘Understanding Korea through Various Aspects on Korean Politics', 두 번째 세션 주제는 ‘Regional integration and security issues’, 세 번째 세션 주제는 ‘Soft power and humanitarian relations’, 그리고 마지막 네 번째 세션 주제는 ‘Mutual Understandings on Human Flows across National Borders’으로 구성하였고 각 세션별로 세 개의 주제발표와 토론이 진행되었다. 학술대회 발표에는 이진영 국제관계연구소 소장, 김의곤 인하대학교 교수, 이석우 인하대학교 교수, 이혜경 배재대 교수, 송석원 경희대 교수, 강국진 서울신문 기자, Battur Jamiyan 몽골국립대 교수, Enkhtsetseg Sosorbaram 교수, Bayasgalan Sanalkhundev 교수 등이 참여하였다.
- 2023-06-02
-
콜로키움
Japan’s Reluctance to Support the Declaration to End the Korean War
K학술확산연구센터는 2023년 5월 11일(목), '정체성의 정치 시리즈'의 일환으로 일본 리츠메이칸 아시아태평양 대학의 카세다 요시노리(KASEDA Yoshinori)교수님을 모시고 2차년도 제6차 콜로키움을 수행하였다. 이번 콜로키움은 “Japan’s Reluctance to Support the Declaration to End the Korean War”라는 주제로 한국 전쟁 종전 선언에 대한 일본의 태도에 관한 의견을 공유하고 향후 한국과 일본이 나아갈 방향과 과제를 논의하는 시간을 시간을 가졌다.
- 2023-05-18
-
워크숍
2차년도 제4차 워크숍 – 공동연구원 내부워크숍 <강좌 개발 및 운영>
○ 일시 : 2023.3.17. 금 10:00 ~ 12:00 K학술확산연구센터는 3월 17일(금) <강좌 개발 및 운영>이라는 주제로 2차년도 제4차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은 사업 1차년도 강좌 운영 보고 및 2차년도 강좌 프로토 시연과 함께 촬영에 대한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하는 목적으로 인하 K학술확산연구센터 공동연구진 및 전문 영상제작업체 관계자 등 18명이 참석하였다.
- 2023-03-21

뉴스레터 구독
인하대학교 K학술확산연구센터의 뉴스레터 구독을 원하시면 정보를 입력해주세요!